2025년 1월 미국금융시장 환경분석 - Part 1
더불어, 12월에 발표된 인플레이션 지수가 연준의 목표치인 2%에 가까워졌고, 노동시장이 여전히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금융시장 (Financial Markets)12월은 전반부에 주식시장의 강세장으로 시작했으나, 연준의 2025년 기준금리 대폭인하 전망의 후퇴로 인해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그 결과로 하반부 시장은 하락장으로 마감하게 되었다. 12월 31일 마지막날 시장의 대부분 주요 지수는 12월을 하락세로 마감했다. 나스닥은 12월 최종 0.48%의 마이너스를, S&P는 2.74%를 하락한체 마감했고, Dow Jones 는 가장 큰 폭의 하락세인 마이너스 5%를 기록했다. 또한, Barclays Aggregate Bond 지수는 월 1.96%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물가상승률(Inflation)12월 내내 인플레이션 데이터는 지난 11월과 마찬가지로 주요 인플레이션 지수 전반에 걸쳐 상대적으로 완고한 상태를 유지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2.7% 상승했고, 핵심 CPI는 3.3%를 기록했다. 월별 기준으로 종합물가지수와 핵심 CPI는 모두 0.3% 증가했다. 11월 CPI에서 주목할 만한 업데이트는 식료품 가격 상승으로 연간 1.6% 상승했으며, 계란 가격은 조류 독감으로 인한 혼란으로 인해 전년 대비 37.5% 급등한바 있다.
개인소비지출(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 PCE) 인플레이션은 종합 PCE가 2.4%, 핵심 PCE가 2.8% 상승하는 등 소폭 상승세를 보였다. 종합PCE지수와 핵심 PCE 모두 전월 대비 0.1% 증가해 예상치를 소폭 밑돌았다.
생산자 물가 지수는 연간 생산자 물가가 3% 상승하고 핵심 PPI가 3.5% 상승하는 등 놀라운 상승세를 보였다. 월간 종합 PPI는 0.4% 상승했는데, 이는 생산자를 위한 달걀 가격이 연간 54.6% 인상된 것을 포함해 11월 식품 가격이 3.1% 상승한 데 따른 것이다. 종합하면, 12월의 이러한 데이터 포인트는 인플레이션이 안정적이지만 경직적이라는 점을 반영하여 연준이 2025년 금리 인하 전망을 낮추기로 결정하는데 큰 기여를 한 것으로 보인다.
이자율 환경 (Interest Rates)연준은 지난 12월 연방기금 금리를 4.25~4.5% 범위로 0.25%포인트 인하했지만 장기 금리는 한 달 동안 크게 상승했다. 이러한 증가는 2025년에 예상되는 기준금리 인하폭 감소와 아래의 여러가지 변수들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12월 30일 현재 미국 국채 수익률은 다음과 같은 움직임을 보였다.
• 3개월 단기 국채 수익률은 3.1% 하락한 4.37%를 기록
• 2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1.68% 상승한 4.24%를 기록
•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8.59% 상승한 4.55%를 기록
• 3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9.4% 상승한 4.77%를 기록
연방기금 금리 전망 상향 조정에 따른 소극적인 통화 완화
지난 12월, 연준은 2025년 금리 인하 전망을 수정하여 전망을 100bp인하에서 50bp인하로 낮춘바 있다. 이러한 변화는 연준이 내년에 금리를 낮추는데 소극적일 것이라는 신호이며, 투자자들의 기대치가 반영됨에 따라 채권 수익률이 상승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경제적 낙관주의
투자자들은 더 강력한 경제 성장을 기대하고 있으며, 이러한 낙관주의는 장기적인 주식투자에 대한 수요 증가와 더 높은 수익률로 이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채권의 시장 가격하락은 더 높은 경제성장에 대한 기대치를 반영하게 된다.
인플레이션 기대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연준의 목표인 2%를 초과하고 있는 가운데, 투자자들은 잠재적인 구매력 저하를 상쇄하기 위해 더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고 있다. 인플레이션에 대처하기위해 투자자들은 더욱 적극적으로 주식시장에 투자하고, 결과적으로 채권시장 가격은 하락하게 되고 채권 수익률을 상승시키게 될 것이다.
정부의 재정정책에 대한 기대
잠재적인 감세정책 또는 정부의 지출확대를 통한 재정적자 정책은 결과적으로 미국 정부의 부채수준을 높일 수 있다. 정부의 높은 재정 적자로 인해 경기부양이 되면, 주식시장에 대한 투자수요가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장기 채권 수익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꾸준히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