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자산, 실질적 가치 지키기
우리는 실질금리 등 이자의 실질가치는 생각하지만, 원금의 실질적 가치, 시간이 흘러도 가치가 고정적인 자산, 즉 명목자산이 떨어지는 것을 간과하는 경향이 많다. 명목자산은 물가가 하락했을때 실질가치가 올라가고, 반대로 물가가 상승했을때 실질가치가 하락하는 특징이 있다. 요즘처럼 높은 인플래이션속에서 나의 명목자산, 현금자산은 그 가치가 하락하기에 효과적인 자산운용 전략을 세우지 않는다면 가만히 앉아서 내자산의 하락을 지켜만 보게되는 꼴이 된다.
기준금리 인상을 지속할것인지 멈출것인지의 갈림길에 섰던 연준은 지난 22일 연방공개시장 위원회(FOMC) 미팅을 통해 0.25% 포인트 인상을 강행했다. 실리콘밸리 은행의 파산과 은행권 위기가 맞물리면서 애초 0.5% 포인트 인상이 있을거라는 예측과는 달리 그의 반인 0.25% 포인트만 인상했다.
이번 인상은 연준의 물가안정 노력을 계속적으로 이어가겠다는 의지와 은행권 위기에 대응하겠다는 정책을 함께 보여준것이라고 전문가들은 풀이한다.
팬데믹이후 지금까지 쉬지않고 공격적인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물가상승률은 올해 1월 기준 여전히 6%대에 머물고 있다. 연방준비제도가 목표하는 물가상승률은 2-3%이지만 좀처럼 높은 인플래이션은 잡히고 않기에 앞으로도 계속적인 금리인상은 상향조정 될 가능성은 크다.
이처럼 매해 인플래이션이 6%로 지속된다면 내가 가지고 있는 현금자산 가치는 큰 폭으로 떨어질수 밖에 없다. 우리는 실질금리 등 이자의 실질가치는 생각하지만, 원금의 실질적 가치, 시간이 흘러도 가치가 고정적인 자산, 즉 명목자산이 떨어지는 것을 간과하는 경향이 많다.
명목자산(nominal asset)이란 은행예금 및 국채등과 같이 물가상승에 연동되지 않고 최초 명목상의 가치로 고정되는 자산을 뜻한다.
예를 들어, 십년전에 현금 십만불을 은행에 예금했다고 가정했을때, 이자를 제외한 원금 십만불은 십년동안 변동없이 같은 금액으로 남아있게 된다. 이처럼 시간이 흘러도 가치가 그대로인걸 명목자산이라고 한다. 명목자산은 물가가 하락했을때 실질가치가 올라가고, 반대로 물가가 상승했을때 실질가치가 하락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문제는 물가상승의 시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명목자산의 실질가치는 더 크게 떨어진다는 것이다. 특히 어디에도 투자되지 않아 한푼의 이자를 받지 않는 현금자산이라면 더더욱 원금의 실질가치는 더 크게 떨어질수 밖에 없다. 만약 인플래이션이 연간 6~7%로 5년만 지속 된다고 해도 내 원금의 가치는 30% 가 하락하게 되고, 10년만 지속된다면 절반인 50%로 떨어지게 된다. 말이 50%이지, 지금의 십만불의 가치가 10년뒤에는 오만불밖에 되지 않다는 것이다.
이런 시장의 변동성과 어려운 경제상황속에서 효과적은 자산운융 전략을 세우지 않는다면 가만히 앉아서 내원금의 하락을 바라보는 꼴이 된다. 따라서 발빠른 대책과 행동 전략이 선행 되어야 내 자산을 인플래이션으로 부터 지킬수 있을것이다.
한가지 변하지 않는 원칙이 있다면 특별한 위험부담 없이도 수익을 챙길수 있는 금융상품에 대한 투자이다. 이러한 상품은 대부분 은퇴후 노후 자금 마련과도 연관된 연금상품인 경우가 많다.
기존금리가 높아짐에 따라 다양하고 높은 수익률의 연금상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특히 주식의 하락장에서도 원금을 보장해 주는 지수형연금(Indexed Annuity)은 리스크 관리를 위한 자산을 재배치하는 포토폴리오 구성으로 인기가 높다. 어쩜 원금손실은 없고 고정소득을 얻고자 하는 많은 한인들에겐 매력적인 상품일지 모른다.
위에서 언급했듯 연준의 기존금리인상은 은행이나 보험회사가 주는 고정금리 이자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존 고정금리의 몇배나 되는 높은 고정금리로 소비자들의 구매력을 상승시키고 있다.
특히 보험회사의 MYGA 상품 같은 경우에는 고정이자를 5.4%까지 주는 곳이 있어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높다. 이 상품은 은행의 CD 처럼 3년에서 7년까지 단기간에 안전하게 자산을 증식 시키고자 하는 소비자들에겐 매력적인 상품이다.
또다른 상품은 가입금에 대해 6%를 선이자로 지급하고 언제든지 패널티없이 찾을수 있는 플랜으로 몇년간 묶여야한다는 일반적인 연금이 부담스러웠던 소비자들에겐 희소식인 상품이다.
보통 원금을 보장하는 지수형연금 상품은 안정성을 자랑하는 반면 몇년간 묶여있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계약기간전에 해지하게 될경우 패널티가 부과되었다. 하지만 그 조항을 없애므로써 오랜시간 묶여 있어야 한다는 단점때문에 망설였던 소비자들에겐 한층 더 넓은 포토폴리오를 짤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외에도 보장성은 아니지만 평균 인덱스이자율의 상승도 함께 높아졌다. 기존 평균수익률 4%-6%의 수익률에서 평균수익률 10%로 오르면서 10년 이상을 투자할 경우 상대적으로 원금의 실질가치가 2배 이상으로 높아졌다. 원금손실은 없으면서 안전하게 자산증식을 원하거나 고정금리보다는 좀 더 높은 포텐셜의 이자수익률을 원하는 분들에겐 적합한 선택이라 할수 있다.
연준의 앞으로의 행보는 많은 경제인들에겐 큰 관심사이다. 물가안정이 목표이기에 앞으로 더 금리인상을 강행할수도 있다. 그 어느누구도 미래를 예측하기 어려운 환경이다. 하지만 한가지 분명한건 인플래이션으로 내원금이 하락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저 가만히 앉아서 내 돈이 깍이는 걸 바라볼 것인지 발빠른 대응으로 내 원금의 실질가치를 높일것인지, 선택은 오롯이 나의 몫이다. 보다 정확한 정보와 가이드가 필요하다면 경험이 풍부한 공인 재정상담가와 파이낸셜 어드바이즈에게 상담 받는 것을 추천한다.
이번 인상은 연준의 물가안정 노력을 계속적으로 이어가겠다는 의지와 은행권 위기에 대응하겠다는 정책을 함께 보여준것이라고 전문가들은 풀이한다.
팬데믹이후 지금까지 쉬지않고 공격적인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물가상승률은 올해 1월 기준 여전히 6%대에 머물고 있다. 연방준비제도가 목표하는 물가상승률은 2-3%이지만 좀처럼 높은 인플래이션은 잡히고 않기에 앞으로도 계속적인 금리인상은 상향조정 될 가능성은 크다.
이처럼 매해 인플래이션이 6%로 지속된다면 내가 가지고 있는 현금자산 가치는 큰 폭으로 떨어질수 밖에 없다. 우리는 실질금리 등 이자의 실질가치는 생각하지만, 원금의 실질적 가치, 시간이 흘러도 가치가 고정적인 자산, 즉 명목자산이 떨어지는 것을 간과하는 경향이 많다.
명목자산(nominal asset)이란 은행예금 및 국채등과 같이 물가상승에 연동되지 않고 최초 명목상의 가치로 고정되는 자산을 뜻한다.
예를 들어, 십년전에 현금 십만불을 은행에 예금했다고 가정했을때, 이자를 제외한 원금 십만불은 십년동안 변동없이 같은 금액으로 남아있게 된다. 이처럼 시간이 흘러도 가치가 그대로인걸 명목자산이라고 한다. 명목자산은 물가가 하락했을때 실질가치가 올라가고, 반대로 물가가 상승했을때 실질가치가 하락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문제는 물가상승의 시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명목자산의 실질가치는 더 크게 떨어진다는 것이다. 특히 어디에도 투자되지 않아 한푼의 이자를 받지 않는 현금자산이라면 더더욱 원금의 실질가치는 더 크게 떨어질수 밖에 없다. 만약 인플래이션이 연간 6~7%로 5년만 지속 된다고 해도 내 원금의 가치는 30% 가 하락하게 되고, 10년만 지속된다면 절반인 50%로 떨어지게 된다. 말이 50%이지, 지금의 십만불의 가치가 10년뒤에는 오만불밖에 되지 않다는 것이다.
이런 시장의 변동성과 어려운 경제상황속에서 효과적은 자산운융 전략을 세우지 않는다면 가만히 앉아서 내원금의 하락을 바라보는 꼴이 된다. 따라서 발빠른 대책과 행동 전략이 선행 되어야 내 자산을 인플래이션으로 부터 지킬수 있을것이다.
한가지 변하지 않는 원칙이 있다면 특별한 위험부담 없이도 수익을 챙길수 있는 금융상품에 대한 투자이다. 이러한 상품은 대부분 은퇴후 노후 자금 마련과도 연관된 연금상품인 경우가 많다.
기존금리가 높아짐에 따라 다양하고 높은 수익률의 연금상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특히 주식의 하락장에서도 원금을 보장해 주는 지수형연금(Indexed Annuity)은 리스크 관리를 위한 자산을 재배치하는 포토폴리오 구성으로 인기가 높다. 어쩜 원금손실은 없고 고정소득을 얻고자 하는 많은 한인들에겐 매력적인 상품일지 모른다.
위에서 언급했듯 연준의 기존금리인상은 은행이나 보험회사가 주는 고정금리 이자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존 고정금리의 몇배나 되는 높은 고정금리로 소비자들의 구매력을 상승시키고 있다.
특히 보험회사의 MYGA 상품 같은 경우에는 고정이자를 5.4%까지 주는 곳이 있어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높다. 이 상품은 은행의 CD 처럼 3년에서 7년까지 단기간에 안전하게 자산을 증식 시키고자 하는 소비자들에겐 매력적인 상품이다.
또다른 상품은 가입금에 대해 6%를 선이자로 지급하고 언제든지 패널티없이 찾을수 있는 플랜으로 몇년간 묶여야한다는 일반적인 연금이 부담스러웠던 소비자들에겐 희소식인 상품이다.
보통 원금을 보장하는 지수형연금 상품은 안정성을 자랑하는 반면 몇년간 묶여있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계약기간전에 해지하게 될경우 패널티가 부과되었다. 하지만 그 조항을 없애므로써 오랜시간 묶여 있어야 한다는 단점때문에 망설였던 소비자들에겐 한층 더 넓은 포토폴리오를 짤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외에도 보장성은 아니지만 평균 인덱스이자율의 상승도 함께 높아졌다. 기존 평균수익률 4%-6%의 수익률에서 평균수익률 10%로 오르면서 10년 이상을 투자할 경우 상대적으로 원금의 실질가치가 2배 이상으로 높아졌다. 원금손실은 없으면서 안전하게 자산증식을 원하거나 고정금리보다는 좀 더 높은 포텐셜의 이자수익률을 원하는 분들에겐 적합한 선택이라 할수 있다.
연준의 앞으로의 행보는 많은 경제인들에겐 큰 관심사이다. 물가안정이 목표이기에 앞으로 더 금리인상을 강행할수도 있다. 그 어느누구도 미래를 예측하기 어려운 환경이다. 하지만 한가지 분명한건 인플래이션으로 내원금이 하락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저 가만히 앉아서 내 돈이 깍이는 걸 바라볼 것인지 발빠른 대응으로 내 원금의 실질가치를 높일것인지, 선택은 오롯이 나의 몫이다. 보다 정확한 정보와 가이드가 필요하다면 경험이 풍부한 공인 재정상담가와 파이낸셜 어드바이즈에게 상담 받는 것을 추천한다.
최종수정: 2023/03/28 06:22:46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