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상승과 은퇴플랜] 인플레 반영해 연금 수령액 상향조정 플랜이 최선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시장의 화두는 단연 인플레이션이었다. 잠시 지나가는 것이라는 연준의 초기 진단은 틀렸던 것으로 판명 난 지 오래다. 좀처럼 잡히지 않는 인플레이션을 뒤늦게라도 잡겠다는 일념으로 초고속 금리 인상이 진행됐다. 연준의 금리정책이 인플레이션을 끌어내리는 데 얼마나 실효를 거두고 있는지를 데이터로 확인할 수 있을 때까지는 시간이 걸린다.
그렇더라도 더디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현재 전년 동기 대비 인플레이션 수준은 아직도 8%가 넘는다. 경기둔화를 넘어 불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다. 소비자들의 고통은 이래저래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소비 대중의 당장의 고통도 문제이지만 은퇴자들이나 은퇴 예비 인구는 앞으로가 더 걱정이다. 은퇴 설계에 있어 인플레이션은 이론적으로만 회자했을 뿐 실질적인 대비는 부족했다. 하지만 이제 더는 안일하게 대처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인플레이션과 구매력
인플레이션이 돈 가치를 떨어뜨리고 그만큼 구매력을 저하한다는 것은 다 알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이를 당연시하고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 이유가 있다. 최근 30년, 그러니까 지난 1991년부터 2020년 사이 평균 인플레이션은 2.2%였다. 인플레이션이 오랜 기간 낮은 수준으로 유지돼온 것이다. 이런 경우 구매력 저하는 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된다. 구매력 저하에 따른 충격을 덜 느낄 수밖에 없다. 이런 인플레이션 환경은 사실 지난 100여 년을 돌아봐도 가장 낮은 수준이다.
하지만 8% 인플레이션은 다른 얘기다. 예를 들어 생각해보자. 지난 1966년 은퇴해 펜션에서 매년 1만 달러씩 받은 경우다. 적은 금액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2022년 가치로 환산하면 9만215달러다. 그렇다면 올해 9만 달러 펜션을 받으면서 은퇴하는 경우는 어떨까. 66년에 은퇴한 사람이 겪은 인플레이션을 그대로 적용하면 20년 후 이 돈은 2만4300달러의 구매력밖에 갖지 못하게 된다. 구매력이 그만큼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을 매년 체감하며 살 게 될 것이다. 20년 후 이 돈의 구매력은 2만5000달러 아래로 떨어지는데, 그 이후 생활은 어떻게 될 것인가. 어쩔 수 없이 더 허리띠를 졸라맨다 해도 너무 어려운 환경이 되지 않을까.
이는 지금 2022년을 사는 은퇴자와 은퇴 예비자들이 마주하고 있는 분명한 인플레이션 리스크다. 가끔 이론적으로만 생각해보는 리스크가 아니라 매우 실질적인 리스크라는 점을 냉정하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2%대라는 저인플레이션 환경에 너무 익숙해져서 실감이 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앞으로 인플레이션 환경이 어떻게 될지는 아무도 모른다. 연준이 천명하는 것처럼 2% 인플레이션 환경으로 돌아갈 수 있다고 확신하기 어렵다. 8% 인플레이션에 머물지 않는다고 해도 2% 선까지 다시 내려올 수 있을지 미지수다. 그래서 은퇴했거나 은퇴를 준비하는 이들에게 인플레이션 리스크는 시장 하락에 따른 손실 리스크만큼이나 중요하게 고려되고 관리되어야 하는 문제다.
▶인플레이션 순서의 리스크
수익과 손실에도 그 순서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를 낼 수 있는 리스크가 있다. 인플레이션도 마찬가지다. 미시건 대학에서 매달 발표하는 향후 12개월 예상 인플레이션 수치는 5%를 상회한다. 5년 예상치는 2.8% 선이다. 물론 이 예상 수치는 계속 달라질 수 있다. 낮아질 수도, 더 높아질 수도 있을 것이다. 중요한 것은 지금의 인플레이션 환경이 은퇴자, 혹은 은퇴예비자들에게 미칠 영향이다.
20년의 은퇴 기간을 전제로 할 때 은퇴 초기 5년을 높은 인플레이션 환경에서 시작한 은퇴자와 은퇴 후기 5년을 높은 인플레이션 환경으로 마무리하는 은퇴자의 상황은 크게 달라진다. 은퇴 초기 높은 인플레이션 환경을 맞는 은퇴자의 구매력 저하가 주는 충격이 그 반대의 상황에 비해 훨씬 크다. 돈 가치가 크게 떨어진 상황에서 시작하게 되고, 이 수준이 은퇴기간 내내 유지되며 영향을 주게 되기 때문이다.
은퇴초기 5년을 5% 인플레이션 환경에서 시작하고 이후 15년을 2% 인플레이션 환경으로 마무리할 경우를 먼저 보자. 이 경우 은퇴자의 구매력은 5년 만에 23%가 떨어진다. 1달러가 77센트의 가치를 갖게 되는 것이다.
반면 초기 5년을 2% 인플레이션 환경에서 시작할 경우 구매력은 10%가 떨어진다. 1달러는 이제 90센트의 구매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6년째 같은 2% 인플레이션 환경에 있게 된 후에도 첫 5년 중 높은 인플레이션을 경험한 이의 1달러 구매력은 75.8센트로 떨어지지만 낮은 인플레이션에서 출발한 이는 88.6센트의 구매력을 갖게 된다. 15년째까지를 보면 결국 5% 인플레이션 환경에서 시작한 은퇴자의 구매력은 2% 인플레이션 환경에서 시작한 은퇴자에 비해 16.8%의 추가 구매력 상실을 경험하게 된다. 은퇴 후기 5년 중 5% 인플레이션을 경험하는 이는 적어도 지난 15년 동안 더 높은 구매력을 유지하며 생활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실질 구매력은 단지 평균 인플레이션의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그 순서에도 큰 영향을 받는다.
▶인플레이션 연금
은퇴기간 중 인플레이션 리스크를 관리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채권 포트폴리오를 통해 상대적 안전성을 가져가면서 필요한 만큼 인출할 수도 있고 주식/채권 포트폴리오를 통해서도 가능할 것이다. 그런데 이들 방식은 이자 리스크와 시장 리스크에 노출돼 있다. 자금의 들쭉날쭉 너무 큰 등락을 반복하는 것은 은퇴 기간 중에는 당연히 피하는 것이 좋다. 인출 계획의 일관성을 보장하기 힘들고 자금도 필요한 기간을 다 커버하지 못하고 조기 소진될 위험 역시 높다. 그래서 현실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는 시장 리스크 없는 지수형 연금을 활용하고, 특히 인플레이션을 반영해 지급되는 연금 금액을 올려주는 플랜을 활용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인플레이션과 구매력
인플레이션이 돈 가치를 떨어뜨리고 그만큼 구매력을 저하한다는 것은 다 알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이를 당연시하고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 이유가 있다. 최근 30년, 그러니까 지난 1991년부터 2020년 사이 평균 인플레이션은 2.2%였다. 인플레이션이 오랜 기간 낮은 수준으로 유지돼온 것이다. 이런 경우 구매력 저하는 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된다. 구매력 저하에 따른 충격을 덜 느낄 수밖에 없다. 이런 인플레이션 환경은 사실 지난 100여 년을 돌아봐도 가장 낮은 수준이다.
하지만 8% 인플레이션은 다른 얘기다. 예를 들어 생각해보자. 지난 1966년 은퇴해 펜션에서 매년 1만 달러씩 받은 경우다. 적은 금액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2022년 가치로 환산하면 9만215달러다. 그렇다면 올해 9만 달러 펜션을 받으면서 은퇴하는 경우는 어떨까. 66년에 은퇴한 사람이 겪은 인플레이션을 그대로 적용하면 20년 후 이 돈은 2만4300달러의 구매력밖에 갖지 못하게 된다. 구매력이 그만큼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을 매년 체감하며 살 게 될 것이다. 20년 후 이 돈의 구매력은 2만5000달러 아래로 떨어지는데, 그 이후 생활은 어떻게 될 것인가. 어쩔 수 없이 더 허리띠를 졸라맨다 해도 너무 어려운 환경이 되지 않을까.
이는 지금 2022년을 사는 은퇴자와 은퇴 예비자들이 마주하고 있는 분명한 인플레이션 리스크다. 가끔 이론적으로만 생각해보는 리스크가 아니라 매우 실질적인 리스크라는 점을 냉정하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2%대라는 저인플레이션 환경에 너무 익숙해져서 실감이 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앞으로 인플레이션 환경이 어떻게 될지는 아무도 모른다. 연준이 천명하는 것처럼 2% 인플레이션 환경으로 돌아갈 수 있다고 확신하기 어렵다. 8% 인플레이션에 머물지 않는다고 해도 2% 선까지 다시 내려올 수 있을지 미지수다. 그래서 은퇴했거나 은퇴를 준비하는 이들에게 인플레이션 리스크는 시장 하락에 따른 손실 리스크만큼이나 중요하게 고려되고 관리되어야 하는 문제다.
▶인플레이션 순서의 리스크
수익과 손실에도 그 순서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를 낼 수 있는 리스크가 있다. 인플레이션도 마찬가지다. 미시건 대학에서 매달 발표하는 향후 12개월 예상 인플레이션 수치는 5%를 상회한다. 5년 예상치는 2.8% 선이다. 물론 이 예상 수치는 계속 달라질 수 있다. 낮아질 수도, 더 높아질 수도 있을 것이다. 중요한 것은 지금의 인플레이션 환경이 은퇴자, 혹은 은퇴예비자들에게 미칠 영향이다.
20년의 은퇴 기간을 전제로 할 때 은퇴 초기 5년을 높은 인플레이션 환경에서 시작한 은퇴자와 은퇴 후기 5년을 높은 인플레이션 환경으로 마무리하는 은퇴자의 상황은 크게 달라진다. 은퇴 초기 높은 인플레이션 환경을 맞는 은퇴자의 구매력 저하가 주는 충격이 그 반대의 상황에 비해 훨씬 크다. 돈 가치가 크게 떨어진 상황에서 시작하게 되고, 이 수준이 은퇴기간 내내 유지되며 영향을 주게 되기 때문이다.
은퇴초기 5년을 5% 인플레이션 환경에서 시작하고 이후 15년을 2% 인플레이션 환경으로 마무리할 경우를 먼저 보자. 이 경우 은퇴자의 구매력은 5년 만에 23%가 떨어진다. 1달러가 77센트의 가치를 갖게 되는 것이다.
반면 초기 5년을 2% 인플레이션 환경에서 시작할 경우 구매력은 10%가 떨어진다. 1달러는 이제 90센트의 구매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6년째 같은 2% 인플레이션 환경에 있게 된 후에도 첫 5년 중 높은 인플레이션을 경험한 이의 1달러 구매력은 75.8센트로 떨어지지만 낮은 인플레이션에서 출발한 이는 88.6센트의 구매력을 갖게 된다. 15년째까지를 보면 결국 5% 인플레이션 환경에서 시작한 은퇴자의 구매력은 2% 인플레이션 환경에서 시작한 은퇴자에 비해 16.8%의 추가 구매력 상실을 경험하게 된다. 은퇴 후기 5년 중 5% 인플레이션을 경험하는 이는 적어도 지난 15년 동안 더 높은 구매력을 유지하며 생활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실질 구매력은 단지 평균 인플레이션의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그 순서에도 큰 영향을 받는다.
▶인플레이션 연금
은퇴기간 중 인플레이션 리스크를 관리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채권 포트폴리오를 통해 상대적 안전성을 가져가면서 필요한 만큼 인출할 수도 있고 주식/채권 포트폴리오를 통해서도 가능할 것이다. 그런데 이들 방식은 이자 리스크와 시장 리스크에 노출돼 있다. 자금의 들쭉날쭉 너무 큰 등락을 반복하는 것은 은퇴 기간 중에는 당연히 피하는 것이 좋다. 인출 계획의 일관성을 보장하기 힘들고 자금도 필요한 기간을 다 커버하지 못하고 조기 소진될 위험 역시 높다. 그래서 현실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는 시장 리스크 없는 지수형 연금을 활용하고, 특히 인플레이션을 반영해 지급되는 연금 금액을 올려주는 플랜을 활용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최종수정: 2022/10/26 08:11:47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