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 바로 알기] 올해 증시 좌지우지한 인플레 알면 등락 흐름 파악
2022년은 인플레이션과 금리인상이라는 긴축통화 정책이 시장을 지배했다. 인플레이션 지표에 따라, 혹은 연방준비제도(Fed, 이하 연준)가 발표하는 금리 인상 폭, 리포트, 기자회견 내용에 따라 시장은 요동쳤다. 2023년은 인플레이션, 금리정책에 더해 기업실적, 불황 등이 시장을 움직이는 주요 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현 시장 상황의 시작은 인플레이션이다. 물론, 인플레이션이 촉발된 보다 근원적인 이유가 있다. 그러나 적어도 현상적으로는 인플레이션에서 시작됐다고 해도 무방하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이해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현재 시장과 경제 전반이 마주한 환경을 이해하기 위해선 그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선행돼야 한다. 소비자들은 종종 인플레이션 수치가 내려가면 물가가 내려간 것으로 이해한다. 이것은 당연히 오해다. 물가 변동률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실은 물가 자체가 더 중요하다. 소비자들은 이 차이를 간과할 때가 많다.
우리가 흔히 접하는 소비자물가지수(CPI) 등 인플레이션 수치는 변동률이다. 일정 기간 중 달라진 물가 폭을 나타내는 수치라는 뜻이다. 예컨대 1월 1일의개솔린 값이 갤런당 3달러였다고 하자. 1월 31일의 개솔린 값이 갤런당 4달러가 되었다. 이 경우 1월 중 개솔린 값의 인플레이션은 33.3% 올라간 것으로 계량화될 것이다. 만약 개솔린 값이 2월부터 연말까지 4달러에 머물렀다고 하면 그해의 잔여기간 중 개솔린 값의 인플레이션 수치는 0%가 된다. 인플레이션이 떨어지기 위해서 물건값이나 서비스 비용이 꼭 떨어질 필요가 없다. 물건값이 더는 오르지만 않으면 인플레이션은 내려간다는 의미다.
결국 최근 인플레이션이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고 해서 물가가 떨어졌다고 볼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단지 변동률, 이 경우 상승률이 전달이나 전년 동기대비 덜 했다는 의미이다. 인플레이션이 떨어져도 이미 오른 물가가 예전 수준으로 돌아가지 않는다는 것은 경기에는 적신호일 수 있다. 소비자들의 주머니 사정이 악화된 것을 심각하게 인지하는 순간 지출은 줄고 경기는 현저히 둔화할 것이기 때문이다.
▶어디가 오르나
소비자들은 보통 식료품, 개솔린, 임대료 등에서 인플레이션을 체감한다. 이는 사실 연준이 측량하는 인플레이션과 사뭇 다르다. 연준은 물가 수준을 측량하는 것이 아니라 변동 폭을 측량한다. 경제의 어떤 부분에서 물가 상승 폭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을까.
핵심 물가지수(Core CPI)의 월별 변동 폭을 보면 어떤 품목과 서비스의 물가가 가장 상승 폭이높은지를 알 수 있다. 연준은 개인소비지출(PCE) 지표를 선호하지만, CPI 역시 통화정책에 반영되는 지표다. 어쨌든 CPI를 구성하는 품목과 서비스의 물가 변동 폭을 보면 평균 인플레이션에 비해 낮은 것이 있고 높은 것이 있다.
지속해서 높은 변동 폭을 보인 분야는 '주거' 분야다. 소비자들이 임대비용으로 얼마를 지출하는지를 측량하는 분야다. 주거 분야의 물가는 보통 느리게 움직인다. 실물경제의 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디게 가격변동을 반영한다.
예를 들어 지난 11월 중 방 두개짜리 아파트의 평균 임대료는 0.4%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부분의 임대계약은 최소한 6개월에서 12개월 지속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대다수는 주거비용을 줄이지 못했다. 모기지 이자도 마찬가지다. 모기지 이자율이 뛰면서 부동산 시장이 위축됐다. 거래량도 줄고 집값도 내려가는 추세다. 하지만 이런 변화가 CPI에 반영되기 위해선 역시 6개월에서 12개월 정도가 걸릴 것이다.
▶기저효과
소비자들이 자주 접하는 인플레이션은 전년 동기대비 비율이다. 올해 8%, 9% 했던 인플레이션은 다 전년 동기대비 물가 상승률이다. 전년 동기대비 수치는 지속해서 12개월 이전의 물가에 대비되는 수치다. 이는 시간이 갈수록 비교하는 대상 수치가 달라진다는 뜻이다. 비교 대상이 되는 과거의 수치에 따라 지금 나오는 수치가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을 소위 '기저효과'라고 부른다. 인플레이션은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6월까지 상당히 가파르게 올랐다. 이 기간 물가 상승률은 월평균 0.8%였다. 연율로 환산하면 10%에 육박한다. 그러나 올 6월부터 지난 10월까지는 월평균 0.2% 오르는 데 그쳤다. 연율 3% 수준이다. 가파른 상승률을 기록했던 올 6월까지의 수치가 12개월 단위의 전년 동기대비 수치에서 제외될수록 새롭게 발표되는 전년 동기대비 CPI는 그래서 현저히 떨어질 것이다.
이런 기저효과로 인한 인플레이션 하강은 사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의미가 없다. 이미 폭등한 물가에 대비해 인플레이션이 2%가 나왔다고 해서 주머니 사정이 나아질 수 없기 때문이다. 연준의 목표치인 2% 선 회복도 어려워 보인다. 전문가들은 4~5% 수준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미 크게 오른 물가에서 4~5% 수준의 물가 상승률은 여전히 치명적일 수 있다. 연준이 긴축의 고삐를 쉽게 놓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결론
최근의 인플레이션의 추이를 볼 때 최악은 지나간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7%대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높다. 높은 인플레이션이 영구화되는 것을 막기 위한 연준의 시도가 어떤 결과를 낳게 될까. 약간의 경기둔화를 동반한 연착륙일지, 지나친 긴축으로 인한 경기침체 심화가 될지, 새해 주목할 부분이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현재 시장과 경제 전반이 마주한 환경을 이해하기 위해선 그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선행돼야 한다. 소비자들은 종종 인플레이션 수치가 내려가면 물가가 내려간 것으로 이해한다. 이것은 당연히 오해다. 물가 변동률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실은 물가 자체가 더 중요하다. 소비자들은 이 차이를 간과할 때가 많다.
우리가 흔히 접하는 소비자물가지수(CPI) 등 인플레이션 수치는 변동률이다. 일정 기간 중 달라진 물가 폭을 나타내는 수치라는 뜻이다. 예컨대 1월 1일의개솔린 값이 갤런당 3달러였다고 하자. 1월 31일의 개솔린 값이 갤런당 4달러가 되었다. 이 경우 1월 중 개솔린 값의 인플레이션은 33.3% 올라간 것으로 계량화될 것이다. 만약 개솔린 값이 2월부터 연말까지 4달러에 머물렀다고 하면 그해의 잔여기간 중 개솔린 값의 인플레이션 수치는 0%가 된다. 인플레이션이 떨어지기 위해서 물건값이나 서비스 비용이 꼭 떨어질 필요가 없다. 물건값이 더는 오르지만 않으면 인플레이션은 내려간다는 의미다.
결국 최근 인플레이션이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고 해서 물가가 떨어졌다고 볼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단지 변동률, 이 경우 상승률이 전달이나 전년 동기대비 덜 했다는 의미이다. 인플레이션이 떨어져도 이미 오른 물가가 예전 수준으로 돌아가지 않는다는 것은 경기에는 적신호일 수 있다. 소비자들의 주머니 사정이 악화된 것을 심각하게 인지하는 순간 지출은 줄고 경기는 현저히 둔화할 것이기 때문이다.
▶어디가 오르나
소비자들은 보통 식료품, 개솔린, 임대료 등에서 인플레이션을 체감한다. 이는 사실 연준이 측량하는 인플레이션과 사뭇 다르다. 연준은 물가 수준을 측량하는 것이 아니라 변동 폭을 측량한다. 경제의 어떤 부분에서 물가 상승 폭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을까.
핵심 물가지수(Core CPI)의 월별 변동 폭을 보면 어떤 품목과 서비스의 물가가 가장 상승 폭이높은지를 알 수 있다. 연준은 개인소비지출(PCE) 지표를 선호하지만, CPI 역시 통화정책에 반영되는 지표다. 어쨌든 CPI를 구성하는 품목과 서비스의 물가 변동 폭을 보면 평균 인플레이션에 비해 낮은 것이 있고 높은 것이 있다.
지속해서 높은 변동 폭을 보인 분야는 '주거' 분야다. 소비자들이 임대비용으로 얼마를 지출하는지를 측량하는 분야다. 주거 분야의 물가는 보통 느리게 움직인다. 실물경제의 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디게 가격변동을 반영한다.
예를 들어 지난 11월 중 방 두개짜리 아파트의 평균 임대료는 0.4%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부분의 임대계약은 최소한 6개월에서 12개월 지속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대다수는 주거비용을 줄이지 못했다. 모기지 이자도 마찬가지다. 모기지 이자율이 뛰면서 부동산 시장이 위축됐다. 거래량도 줄고 집값도 내려가는 추세다. 하지만 이런 변화가 CPI에 반영되기 위해선 역시 6개월에서 12개월 정도가 걸릴 것이다.
▶기저효과
소비자들이 자주 접하는 인플레이션은 전년 동기대비 비율이다. 올해 8%, 9% 했던 인플레이션은 다 전년 동기대비 물가 상승률이다. 전년 동기대비 수치는 지속해서 12개월 이전의 물가에 대비되는 수치다. 이는 시간이 갈수록 비교하는 대상 수치가 달라진다는 뜻이다. 비교 대상이 되는 과거의 수치에 따라 지금 나오는 수치가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을 소위 '기저효과'라고 부른다. 인플레이션은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6월까지 상당히 가파르게 올랐다. 이 기간 물가 상승률은 월평균 0.8%였다. 연율로 환산하면 10%에 육박한다. 그러나 올 6월부터 지난 10월까지는 월평균 0.2% 오르는 데 그쳤다. 연율 3% 수준이다. 가파른 상승률을 기록했던 올 6월까지의 수치가 12개월 단위의 전년 동기대비 수치에서 제외될수록 새롭게 발표되는 전년 동기대비 CPI는 그래서 현저히 떨어질 것이다.
이런 기저효과로 인한 인플레이션 하강은 사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의미가 없다. 이미 폭등한 물가에 대비해 인플레이션이 2%가 나왔다고 해서 주머니 사정이 나아질 수 없기 때문이다. 연준의 목표치인 2% 선 회복도 어려워 보인다. 전문가들은 4~5% 수준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미 크게 오른 물가에서 4~5% 수준의 물가 상승률은 여전히 치명적일 수 있다. 연준이 긴축의 고삐를 쉽게 놓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결론
최근의 인플레이션의 추이를 볼 때 최악은 지나간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7%대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높다. 높은 인플레이션이 영구화되는 것을 막기 위한 연준의 시도가 어떤 결과를 낳게 될까. 약간의 경기둔화를 동반한 연착륙일지, 지나친 긴축으로 인한 경기침체 심화가 될지, 새해 주목할 부분이다.
최종수정: 2022/12/29 10:38:59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