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클과 투자] 현재 사이클 맞는 탄력적 포트폴리오 필요
오랜 투자의 역사와 경험에서 확인된 가장 중요한 레슨 중 하나는 '사이클'이다. 시장이 좋은 시기와 나쁜 시기를 반복적으로 경험한다는 뜻이다. 이를 화자에 따라 '파동'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순환'이라고도 부르기도 한다. 비즈니스에도 마찬가지 사이클이 있다. 비즈니스 사이클 안에서는 부문별 사이클이 있고, 섹터 안에서는 또 지정학적 사이클도 있다. 여기에 시즈널(seasonal) 사이클, 대선 사이클 등 더 다양한 형태의 사이클도 생각해볼 수 있다. 요즘의 투자환경은 특별히 이 사이클을 고민하게 한다.
▶사이클이란
사실 사이클은 경기와 투자시장에서뿐만 아니라 자연과학 전반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생물학과 기후, 수문학, 물리 등등에서 다양한 형태의 사이클이 확인된다. 어떤 면에선 사람의 본성도 양극단을 오가는 사이클과 무관해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사회역사적인 측면에서도 사이클을 볼 수 있다.
정치학자 조지 프리드먼은 '다가오는 폭풍과 새로운 미국의 세기'라는 책에서 사이클에 대해 논했다. 미국사회가 겪고 있는 최근의 정치적 대립, 폭동, 여러 불안정한 상황에 대한 설명과 이유로 사이클을 제시했다.
그에 따르면 지금은 미국사회의 두 가지 거대 사이클이 겹치는 지점이다.
먼저 정치사회 구조의 작동방식과 정부(연방과 주정부)들 간의 관계 재설정이 이뤄지는 80년 사이클이 있다.
그리고 사회적 관계와 경제정책의 근본적 변화를 경험하는 50년 사이클이 있다. 2020년대는 이 두 거대 사이클이 동시에 새 순환기를 시작하는 시기라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그의 이론이나 분석을 전적으로 받아들이지 않더라도 현재 미국사회가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서 중요한 변곡점을 지나고 있다고 볼 만한 현상들은 사실 넘쳐나고 있다.
▶금융시장과 사이클
장기적인 성공투자 전략 수립을 위해선 금융시장에도 사이클이 있다는 점을 인정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고 볼 수 있다. 경기가 확장기와 침체기, 불황 등의 단계를 반복하며 성장한다는 것은 많이 알려진 순환이론의 내용이다. 러시아의 경제학자 니콜라이 콘드라티예프는 이 주기를 평균 50년으로 봤다.
숫자에 매몰될 필요는 없다. 중요한 것은 경기가 확장기와 침체기, 불황, 회복기를 순차적으로 반복해 왔다는 점을 인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사이클은 주식시장의 사이클과 무관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주식시장은 경기순환을 앞서간다. 실물경제의 흐름을 앞서 예상하고 움직이는 성격이 강하기 때문이다.
▶사이클과 투자
그렇다면 투자자는 미래를 예측할 수 있을까. 시장이 사이클을 경험한다는 것을 안다고 해서 미래를 예측할 수는 없다. 그러나 사이클을 연구하고 그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노력하면 각 사이클이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대략적인 지점을 인지할 수는 있다. 완벽하지는 않지만 무작정 기대가 아닌 분석적 선택이 가능하다는 의미다.
지난 1950년부터 S&P500 지수의 가격변동 차트를 멀리서 보면 전반적인 상승세로 보일 뿐 아니라 그 상승속도 역시 갈수록 빨라졌다. 하지만 이 패턴에 기초해 무작정 투자를 지속하라고 조언하는 것은 사실 적절치 않다. 왜냐면 실제로 70년의 투자 기간을 가진 투자자들은 현실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운이 좋으면 30년 정도 투자 기간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대부분은 20~25년 정도의 투자 기간을 생각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이다.
그런데 지난 70년간 시장의 상승 패턴을 보면 그 안에서 다시 상승장(Bull Market)과 하락장(Bear Market)이 약 15년 주기로 반복하며 올라온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곧 한 세대의 투자 기간(20~25년)의 대부분이 상승장에 걸렸을 수도 있고 하락장에 걸렸을 수도 있었다는 뜻이다. 어느 시기에 투자를 시작했는가에 따라 상당히 수익이 높았을 경우와 정체되었을 경우, 둘 다 가능했다. 지난 70년 중 언제 투자를 시작하게 되었는가에 따라 투자자들은 현저히 다른 경험을 했을 것이다.
이 15년 주기의 상승장과 하락장 안에서는 다시 작은 상승과 하락의 사이클이 존재했다. 이는 특정 사이클 안에서도 상승장에는 동참하고 하락장은 피해갈 기회들이 당연히 있었다는 점을 상기시켜 준다.
20~25년의 투자 기간은 장기투자라고 해도 사실 안심할 수 있는 투자 기간이 아니다. '불마켓'과 '베어마켓' 사이클이 특정 투자세대 대부분에 걸쳐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은 무작정 '바이 앤 홀드(buy and hold)'가 전혀 효과적인 투자원칙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사이클을 내 편으로
확장과 침체, 상승과 하락이 불가피한 사이클이라면 이를 기회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지난해부터의 시장환경은 새로운 주기가 시작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이럴 때 필요한 것은 미래를 정확히 예측하거나 타이밍을 맞추는 것이 아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손실을 최소화하고 현 시장환경이 제공하는 기회를 찾아 투자하는 것이다.
사이클의 변화는 시간이 걸린다. 급하게 감정적으로 대응하거나 해결책을 찾으려 전전긍긍할 필요도 없다. 각 사이클 별로 가장 유리할 수 있는 자산 유형과 팩터, 스타일 등을 고려해 투자전략을 세우면 된다.
그리고 지속해서 변화하는 사이클 환경에 따라 내 포트폴리오 역시 능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탄력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실 사이클은 경기와 투자시장에서뿐만 아니라 자연과학 전반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생물학과 기후, 수문학, 물리 등등에서 다양한 형태의 사이클이 확인된다. 어떤 면에선 사람의 본성도 양극단을 오가는 사이클과 무관해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사회역사적인 측면에서도 사이클을 볼 수 있다.
정치학자 조지 프리드먼은 '다가오는 폭풍과 새로운 미국의 세기'라는 책에서 사이클에 대해 논했다. 미국사회가 겪고 있는 최근의 정치적 대립, 폭동, 여러 불안정한 상황에 대한 설명과 이유로 사이클을 제시했다.
그에 따르면 지금은 미국사회의 두 가지 거대 사이클이 겹치는 지점이다.
먼저 정치사회 구조의 작동방식과 정부(연방과 주정부)들 간의 관계 재설정이 이뤄지는 80년 사이클이 있다.
그리고 사회적 관계와 경제정책의 근본적 변화를 경험하는 50년 사이클이 있다. 2020년대는 이 두 거대 사이클이 동시에 새 순환기를 시작하는 시기라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그의 이론이나 분석을 전적으로 받아들이지 않더라도 현재 미국사회가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서 중요한 변곡점을 지나고 있다고 볼 만한 현상들은 사실 넘쳐나고 있다.
▶금융시장과 사이클
장기적인 성공투자 전략 수립을 위해선 금융시장에도 사이클이 있다는 점을 인정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고 볼 수 있다. 경기가 확장기와 침체기, 불황 등의 단계를 반복하며 성장한다는 것은 많이 알려진 순환이론의 내용이다. 러시아의 경제학자 니콜라이 콘드라티예프는 이 주기를 평균 50년으로 봤다.
숫자에 매몰될 필요는 없다. 중요한 것은 경기가 확장기와 침체기, 불황, 회복기를 순차적으로 반복해 왔다는 점을 인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사이클은 주식시장의 사이클과 무관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주식시장은 경기순환을 앞서간다. 실물경제의 흐름을 앞서 예상하고 움직이는 성격이 강하기 때문이다.
▶사이클과 투자
그렇다면 투자자는 미래를 예측할 수 있을까. 시장이 사이클을 경험한다는 것을 안다고 해서 미래를 예측할 수는 없다. 그러나 사이클을 연구하고 그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노력하면 각 사이클이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대략적인 지점을 인지할 수는 있다. 완벽하지는 않지만 무작정 기대가 아닌 분석적 선택이 가능하다는 의미다.
지난 1950년부터 S&P500 지수의 가격변동 차트를 멀리서 보면 전반적인 상승세로 보일 뿐 아니라 그 상승속도 역시 갈수록 빨라졌다. 하지만 이 패턴에 기초해 무작정 투자를 지속하라고 조언하는 것은 사실 적절치 않다. 왜냐면 실제로 70년의 투자 기간을 가진 투자자들은 현실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운이 좋으면 30년 정도 투자 기간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대부분은 20~25년 정도의 투자 기간을 생각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이다.
그런데 지난 70년간 시장의 상승 패턴을 보면 그 안에서 다시 상승장(Bull Market)과 하락장(Bear Market)이 약 15년 주기로 반복하며 올라온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곧 한 세대의 투자 기간(20~25년)의 대부분이 상승장에 걸렸을 수도 있고 하락장에 걸렸을 수도 있었다는 뜻이다. 어느 시기에 투자를 시작했는가에 따라 상당히 수익이 높았을 경우와 정체되었을 경우, 둘 다 가능했다. 지난 70년 중 언제 투자를 시작하게 되었는가에 따라 투자자들은 현저히 다른 경험을 했을 것이다.
이 15년 주기의 상승장과 하락장 안에서는 다시 작은 상승과 하락의 사이클이 존재했다. 이는 특정 사이클 안에서도 상승장에는 동참하고 하락장은 피해갈 기회들이 당연히 있었다는 점을 상기시켜 준다.
20~25년의 투자 기간은 장기투자라고 해도 사실 안심할 수 있는 투자 기간이 아니다. '불마켓'과 '베어마켓' 사이클이 특정 투자세대 대부분에 걸쳐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은 무작정 '바이 앤 홀드(buy and hold)'가 전혀 효과적인 투자원칙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사이클을 내 편으로
확장과 침체, 상승과 하락이 불가피한 사이클이라면 이를 기회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지난해부터의 시장환경은 새로운 주기가 시작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이럴 때 필요한 것은 미래를 정확히 예측하거나 타이밍을 맞추는 것이 아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손실을 최소화하고 현 시장환경이 제공하는 기회를 찾아 투자하는 것이다.
사이클의 변화는 시간이 걸린다. 급하게 감정적으로 대응하거나 해결책을 찾으려 전전긍긍할 필요도 없다. 각 사이클 별로 가장 유리할 수 있는 자산 유형과 팩터, 스타일 등을 고려해 투자전략을 세우면 된다.
그리고 지속해서 변화하는 사이클 환경에 따라 내 포트폴리오 역시 능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탄력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종수정: 2023/03/30 12:17:12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