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게 맞는 투자방법-은퇴 10년 미만, 능동적 전술투자 효과적
인덱스·ETF 수동적 투자는 변동성 클 때 조심
전략적 바이앤홀드 방식, 급등락 장에선 불리
투자는 보는 각도에 따라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지금과 같은 불확실한 투자환경에서는 원칙을 되새겨 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내가 활용할 수 있는 투자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고, 언제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적절한 것인지 알아보자.
▶능동투자와 수동투자= 지난 10년간은 수동투자의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패시브(passive)’ 투자 방식은 쉽게 말해 인덱스(index) 투자다. 인덱스 투자는 일반적인 뮤추얼 펀드의 하나인 인덱스 펀드나 상장지수펀드(ETFs)를 통해 이뤄진 것이 일반적이다. 말 그대로 주요 주가지수를 통해 시장 전체를 따라가는 투자라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투자는 특히 지난 10여년간 성공적이었다. 비용도 적게 들고 성적도 좋았기 때문이다.
반면 능동투자, 즉 ‘액티브(active)’ 투자는 인덱스 펀드가 유행하기 전 주로 활용됐던 일반적인 뮤추얼 펀드 투자에 해당된다. 펀드 매니저들이 저마다 자기 펀드의 투자 목적에 따라 능동적으로 포트폴리오 보유 종목을 거래하며 관리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전문가들은 다시 액티브 투자가 더 유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고 보고 있다. 투자시장 환경이 어렵거나 불투명하면 액티브 투자가 유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패시브 투자나 액티브 투자 모두 하나의 펀드·ETFs로 이뤄질 수도 있고 여러 펀드·ETFs로 구성된 포트폴리오 투자가 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패시브 포트폴리오/액티브 포트폴리오라고 부를 것이다.
▶전략투자와 전술투자= 능동투자·수동투자와 함께 생각해볼 수 있는 투자 개념이 전략투자와 전술투자다. 전략투자는 기본적으로 ‘바이 앤 홀드(buy and hold)’ 원칙에 기반하고 있다. 지금까지 대부분 투자가 이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전술투자는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투자종목이나 자산 유형을 바꿔가며 투자하는 방식이다.
앞서 언급한 능동투자와 수동투자 모두 전략적 투자일 수도 있고 전술적 투자일 수도 있다. 지금까지는 능동·수동투자에 전략투자가 결합한 것이 일반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재정전문가들이 제공하는 투자자문이 이에 기반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요즘은 전술투자 활용이 점차 많아지는 추세다. 2000년 이후 경험한 두 차례의 큰 폭락 장이 전술투자에 대한 수요를 늘어나게 한 원인으로 분석된다.
▶집중투자와 분산투자= 분산투자는 모두에게 익숙하다. 여러 투자자산 유형에 나눠서 투자하는 방식이다. 분산투자 포트폴리오를 얘기할 때 가장 대표적인 자산 유형이 주식과 채권이다. 리스크 성향에 따라 보수적 포트폴리오부터 공격적 포트폴리오까지 주식과 채권의 구성비를 달리하여 구성하게 된다. 이 역시 대부분 재정전문가들이 제공하는 투자자문의 내용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 반대편에는 집중투자가 있다. 여러 자산 유형에 분산해서 하는 투자는 결국 해당 자산들의 평균치 수익을 내게 된다. 그러나 특정 자산이나 종목에 집중하면 평균치를 상회하는 수익을 낼 수 있다.
물론 그 반대도 성립된다. 분산투자 포트폴리오의 손실 리스크도 평균치가 되지만 집중투자 포트폴리오의 손실 리스크는 그만큼 커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리스크 관리를 중심에 놓는 투자는 분산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게 되고 수익을 중심에 놓는 투자는 집중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투자방식의 실제 적용= 많은 이들이 투자목적을 스스로 확인하지 못한 채 막연히 투자한다. 투자목적이 정확히 확인되지 않으면 어떤 자산에 어떻게 투자해야 하는지를 알 수가 없다.
리스크 관리가 우선인지 수익이 우선인지 확인하지 못한 채 막연히 분산투자를 하거나 막연히 집중투자를 할 수 있다. 수동·능동 투자나 전략·전술 투자 역시 투자환경과 투자 기간 등을 고려하지 않으면 실수로 이어질 수 있다.
많은 이들이 인덱스 펀드나 ETFs 투자를 하고 있지만 이런 수동투자는 시장이 급등락을 반복하며 변동성이 높아지면 자칫 큰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능동적인 자산관리가 필요한 환경일 수 있기 때문이다. 상승장이 지속되는 환경에서는 전략적 ‘바이앤홀드’ 투자가 유리할 수 있다. 최근까지가 그런 투자환경이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하락장을 지날 때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전술적 자산운용이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은퇴까지 남은 투자 기간이 10년 미만이라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능동적 전술투자가 반드시 접목돼야 한다. 2007년 금융위기 후 수년래 내가 은퇴를 계획하고 있었다고 가정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은퇴자금의 절반이 사라진 상황에서 계획했던 은퇴는 사실상 불가능해졌을 것이다.
집중투자나 분산투자 역시 전략·전술적 집중, 전략·전술적 분산이 동시에 이뤄질 수 있어야 한다. 내 투자목적, 투자환경, 투자 기간 등을 모두 고려해 능동·수동, 전략·전술, 집중·분산 투자를 탄력적으로 운용할 수 있어야 오래 가는 성공투자가 가능할 것이다.
▶능동투자와 수동투자= 지난 10년간은 수동투자의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패시브(passive)’ 투자 방식은 쉽게 말해 인덱스(index) 투자다. 인덱스 투자는 일반적인 뮤추얼 펀드의 하나인 인덱스 펀드나 상장지수펀드(ETFs)를 통해 이뤄진 것이 일반적이다. 말 그대로 주요 주가지수를 통해 시장 전체를 따라가는 투자라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투자는 특히 지난 10여년간 성공적이었다. 비용도 적게 들고 성적도 좋았기 때문이다.
반면 능동투자, 즉 ‘액티브(active)’ 투자는 인덱스 펀드가 유행하기 전 주로 활용됐던 일반적인 뮤추얼 펀드 투자에 해당된다. 펀드 매니저들이 저마다 자기 펀드의 투자 목적에 따라 능동적으로 포트폴리오 보유 종목을 거래하며 관리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전문가들은 다시 액티브 투자가 더 유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고 보고 있다. 투자시장 환경이 어렵거나 불투명하면 액티브 투자가 유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패시브 투자나 액티브 투자 모두 하나의 펀드·ETFs로 이뤄질 수도 있고 여러 펀드·ETFs로 구성된 포트폴리오 투자가 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패시브 포트폴리오/액티브 포트폴리오라고 부를 것이다.
▶전략투자와 전술투자= 능동투자·수동투자와 함께 생각해볼 수 있는 투자 개념이 전략투자와 전술투자다. 전략투자는 기본적으로 ‘바이 앤 홀드(buy and hold)’ 원칙에 기반하고 있다. 지금까지 대부분 투자가 이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전술투자는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투자종목이나 자산 유형을 바꿔가며 투자하는 방식이다.
앞서 언급한 능동투자와 수동투자 모두 전략적 투자일 수도 있고 전술적 투자일 수도 있다. 지금까지는 능동·수동투자에 전략투자가 결합한 것이 일반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재정전문가들이 제공하는 투자자문이 이에 기반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요즘은 전술투자 활용이 점차 많아지는 추세다. 2000년 이후 경험한 두 차례의 큰 폭락 장이 전술투자에 대한 수요를 늘어나게 한 원인으로 분석된다.
▶집중투자와 분산투자= 분산투자는 모두에게 익숙하다. 여러 투자자산 유형에 나눠서 투자하는 방식이다. 분산투자 포트폴리오를 얘기할 때 가장 대표적인 자산 유형이 주식과 채권이다. 리스크 성향에 따라 보수적 포트폴리오부터 공격적 포트폴리오까지 주식과 채권의 구성비를 달리하여 구성하게 된다. 이 역시 대부분 재정전문가들이 제공하는 투자자문의 내용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 반대편에는 집중투자가 있다. 여러 자산 유형에 분산해서 하는 투자는 결국 해당 자산들의 평균치 수익을 내게 된다. 그러나 특정 자산이나 종목에 집중하면 평균치를 상회하는 수익을 낼 수 있다.
물론 그 반대도 성립된다. 분산투자 포트폴리오의 손실 리스크도 평균치가 되지만 집중투자 포트폴리오의 손실 리스크는 그만큼 커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리스크 관리를 중심에 놓는 투자는 분산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게 되고 수익을 중심에 놓는 투자는 집중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투자방식의 실제 적용= 많은 이들이 투자목적을 스스로 확인하지 못한 채 막연히 투자한다. 투자목적이 정확히 확인되지 않으면 어떤 자산에 어떻게 투자해야 하는지를 알 수가 없다.
리스크 관리가 우선인지 수익이 우선인지 확인하지 못한 채 막연히 분산투자를 하거나 막연히 집중투자를 할 수 있다. 수동·능동 투자나 전략·전술 투자 역시 투자환경과 투자 기간 등을 고려하지 않으면 실수로 이어질 수 있다.
많은 이들이 인덱스 펀드나 ETFs 투자를 하고 있지만 이런 수동투자는 시장이 급등락을 반복하며 변동성이 높아지면 자칫 큰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능동적인 자산관리가 필요한 환경일 수 있기 때문이다. 상승장이 지속되는 환경에서는 전략적 ‘바이앤홀드’ 투자가 유리할 수 있다. 최근까지가 그런 투자환경이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하락장을 지날 때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전술적 자산운용이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은퇴까지 남은 투자 기간이 10년 미만이라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능동적 전술투자가 반드시 접목돼야 한다. 2007년 금융위기 후 수년래 내가 은퇴를 계획하고 있었다고 가정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은퇴자금의 절반이 사라진 상황에서 계획했던 은퇴는 사실상 불가능해졌을 것이다.
집중투자나 분산투자 역시 전략·전술적 집중, 전략·전술적 분산이 동시에 이뤄질 수 있어야 한다. 내 투자목적, 투자환경, 투자 기간 등을 모두 고려해 능동·수동, 전략·전술, 집중·분산 투자를 탄력적으로 운용할 수 있어야 오래 가는 성공투자가 가능할 것이다.
최종수정: 2020/08/05 10:04:41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