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 상품은 그 자체가 은퇴 플랜 용도로 쓰이는 금융 상품이다. 은퇴 플랜 용도로 사용되는 금융 상품의 특징 중 하나는 수익에 대한 세금 유예 혜택이라고 볼 수 있다. 자금이 은퇴플랜 밖으로 나오기 전까지는, 즉 써야 할 때가 되어서 인출하기 전까지는 발생한 수익에 대해 세금을 내지 않는다는 뜻이다. 개인 은퇴계좌(IRA)나 401(k), 펜션 플랜 등 다른 은퇴 플랜들이 갖는 기본적인 세제 혜택 역시 바로 이 수익에 대한 세금 유예 혜택이다.
연방 준비제도이사회(FRB)와 투자자들의 관계는 복잡하다. 좋은 날도 있고 흐린 날도 있다. 애증의 관계라고도 볼 수 있다. 증시는 자주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 때문에 등락을 반복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인플레이션이 오를 때 연준이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를 두고 오르락내리락 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올 들어 시중 금리가 급상승했다. 이와 함께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아 지고 있다. 당연히 정부의 지출과 연방준비제도 이사회(FRB, 이하 연준)의 적극적인 완화 정책의 필연적 결과라는 지적이 뒤따라온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논의의 내용과 투자자들에게 주는 함의에 대해 알아보자.
대부분 투자자는 이자에 대해 신경을 쓴다. 주식을 해도 이자를 신경 써야 하고, 채권을 하면 당연히 신경을 써야 한다. 최근 10년 만기 연방 국채 수익률이 가파른 상승세를 타면서 1.5%를 넘어섰다. 이에 따라 증시도 불안 상태를 보이고 있다. 워낙 빨리 가파르게 올라 투자자들이 주식을 비롯한 모든 투자자산의 가치를 재평가할 수밖에 없도록 강제하고 있는 형국이다. 국채 수익률이 무엇이길래 시장이 이렇게 주목하며 긴장하는 것일까.
낮은 데서 사고 높은 데서 파는 것이 투자수익을 남기는 당연한 메커니즘이다. 그렇다면 증시가 사상 최고점 수준에 있는 지금은 과연 투자에 적절한 시기인가. 역사상 가장 빠른 속도로 떨어졌던 지난해 코비드 장세는 많은 이들이 저점에서 손절매하도록 강요했다. 이후 많은 이들이 다시 들어가지 못한 채 역시 역사상 가장 빠르고 강력하게 전개된 회복 상승장을 장외에서 지켜만 봐야 했다.
투자자의 가장 큰 적은 자기 자신이라는 말이 있다. 성공적인 투자는 일관성과 꾸준함, 용기와 균형이 필요하지만, 스스로가 이를 가로막을 때가 많기 때문이다. 성공적인 투자를 어렵게 하는 이유 중 하나로 손실 회피 편향을 들 수 있다. 손실 회피 편향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하면 이를 극복해 성공적인 투자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을까.
2020년은 전례 없던 한 해였다. 코로나바이러스와 함께 온 지난해 3월의 '베어마켓'은 이후 워낙 급등세를 보인 회복 장세 덕분에 그 역사적 의미를 미처 소화할 시간도 없이 지나간 듯하다. 어느새 2021년도 1개월이 훌쩍 지났다. 남은 2021년이 궁금할 시점이다.
정보의 홍수라는 표현은 이제 진부할 정도다. 투자자들도 그만큼 많은 정보를 늘 접한다. 예전과 같지 않다. 여기엔 분명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부정적인 측면도 적지 않다. 왜냐면 정보가 넘치는 만큼 잘못된 정보도 있을 수 있고, 이 정보에 대한 이해만큼 오해도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미·중 관계 회복 가능성 커 / 신흥시장·하이테크에 주목
포트폴리오의 분산을 통한 리스크 헤징 전략 활용해야 / 시장(Market)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는 헤징 전략 구사해야 할 시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