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승 기조 중 황소와 곰장에 대한 전망 엇갈려. 연준의 통화 긴축 유지 또는 완화 정책도 변수. 저커버그 4억 달러·베조스 85억 달러 자사주 매도. 기업 내부자들도 연속 주식 매각 처분 의미 고려
5~10년 걸친 중장기적 시장순환 주기 성적 봐야 위험 선호도에 따라 주식·채권 등 분산 비율 결정
상승장 지속 가능성. 머니마켓 6조 달러 전부 증기 투자 대기성 자금 아냐. 시장에 들어올 기회 기다리는 자금 규모 파악 힘들어. 투자 포트폴리오는 현금자산 규모 사상 최저치 근접. 위험자산 실질 구매력 낮아, 위험 오기 전 리스크 관리
[버퍼형 연금과 지수형 연금] 상승장서는 부분적 손실 방어하는 버퍼형 유리. 큰 폭 하락장 경험하면 지수형이 더 좋은 결과. 개인별 리스크 수용 의사와 능력 따라 선택해야.
시장 연동형 CD(MLCD) FDIC 보호 안전 시장지수·투자자산 연계 유동성 제한·제로 수익 리스크 등은 단점 만기까지 보유 않으면 원금 손해 볼 수도
가치 불어난 재산, CRT 활용하면 절세 혜택. 복리 효과 극대화·은퇴 소득원·상속 계획도 연간 최소 5%에서 최대 50%까지 인출 가능
개인의 투자성향과 투자 기간 등 반영해 연금 결정. 지수형 연금, 지수연계형 변액 연금 등 활용 가능. 리스크 성향, 투자목적, 기간 등 고려해 선택해야
투자계좌 유형 결정하는 자산 위치적 접근 필요. 면세·세금 유예 혜택 등 세무 효율성 제고 중요. IOVA, 보험과 관련된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아
2023년 시장은 불황에 대한 계속된 우려에도 불구, 전반적인 상승 기조를 유지했다. S&P500은 지난해 24%가 올라 2022년 1월 최고점에 육박했고 다우존스 산업지수는 같은 기간 13%가 오르면서 이미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나스닥은 지난해 43% 상승했다.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싸움이 시작된 지 거의 2년이 되어 간다. 금리인상 사이클은 사실상 끝난 것으로 보인다. 인플레이션은 꾸준히 하락세를 탔고, 대신 지금까지 올린 금리의 영향이 점차 경기에 반영되고 있다. 내년의 투자환경은 결국 인플레이션의 하강 속도와 성장의 지속성 여부에 달려 있다. 미국을 포함한 선진국들에서는 내년에도 물가 하락세가 지속할 것으로 예상한다. 다른 말로 하면 경기둔화이기도 하다. 상반기는 둔화, 하반기 회복이 예상된다는 것이 일반적인 관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