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세부터 시작하는 든든한 은퇴준비

계획보다 일찍 은퇴하는 이유로 여러가지가 작용할 수 있지만 실직, 부상 또는 질병과 같은 원치않은 이유나 사고로 인한 조기은퇴는 오히려 큰 재정적 부담을 만들수 있다. 은퇴 후 재정적으로 편안하려면 은퇴 전 소득의 약 80%가 필요하다는 조사결과와 함께 여기에는 사회보장연금(SSA), 각종 투자계좌, 개인 및 기업은퇴연금 등 모든 소득원의 포함이다. 든든한 은퇴를 위한 은퇴연금 만들기, 여기 50세에 반드시 실천해야할 필수요건을 제공한다.

중병보험도 선진국형이 대세

다양한 중병이 걸리거나 재발할 때와 사고로 입원했을 때 보장되는 보험이 있다면, 얼마나 든든할까? 오늘은 심장마비, 관상동맥 우회술, 혈관 성형술, 뇌졸증, 신부전증, 장기이식, 알츠하이머, 마비, 혼수상태, 진행성 근위축성측삭 경화증, 파킨슨병, 시력상실, 청력 상실, 뇌종양등의 병에 걸렸을 때 어떻게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자

Target Date Fund 바로알기

지난 몇년간 미국의 여러 주 정부의 직장 은퇴 연금 의무화가 이루어 지며, 많은 한인들도 그전에 없었던 401(k)나 비슷한 은퇴플랜을 시작하게 되었다. 이런 은퇴플랜들은 대부분 뮤추얼 펀드 형태로 투자가 되어 있으며, Plan Administrator (대부분 고용주) 는 Plan Fiduciary로서, 직원이 특정 펀드를 지정하지 않았을경우 기본 펀드를 정해주는 QDIA (Qualified Default Investment Alternative)를 지정하게 되었있다.

로스 IRA를 사용한 래더링 전략

조기은퇴를 계획하는 경우, 그리고 세금유예(Tax-deferred)가 되는 은퇴플랜에 돈이 많을 경우라면 401(k), Traditional IRA에서 Roth IRA로 전환하는 래더링 전략을 수립하는것도 좋은 방법이다. 원래 래더링전략은 보유하고 있는 자산중 채권에 투자했을 경우 많이 사용하는 전략이다. 각기 다른 만기로 구성해 변동성에 대비, 안정적 소득을 취할수 있도록 목표 하는것이다. 만기를 다양하게 구성함으로써 투자자는 단일 금리에 묶이지 않아도 되고, 금리 리스크를 낮출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많이 사용된다.

[내 은퇴연금 지키기] - 옮겨놓은 401(k)를 다시 살펴야하는 이유 3가지

기업연금 401(k) 또는 개인연금 IRAs 는 근로소득으로 저축하며, 짧지않은 기간을 통해 만들어 진다. 401(k)와 IRAs 모두 통틀어 이런 은퇴연금을 운용할때는 지켜야 할 IRS규정을 알아야 한다. 또한 '불리는' 시기와 '빼서 쓰는' 시기에 따라 목적을 달리해야 하며 '내 돈 지키면서' 투자하는 방법 모색도 반드시 필요하다.

<세금 줄이기 시리즈> 2 기본 6가지 컨셉, 두번째

'Tax Planning' 이라는 것은 간단하게 말하면 자신의 재정을 전반적으로 검토하고 조정하는 과정 안에서 tax break을 사용하여 효과적이고 합법적으로 자신의 tax liability를 낮추는 것입니다. 세법이 아무리 복잡해 보여도, 세금보고 할 때 자신한테 이익이 될 수 있는 만큼 정도는 알아야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 중에 기본적으로 알아야할 컨셉이 6가지가 있는데, 지난번에 이어 오늘은 4~6번을 다루겠습니다.

[불황의 지표들] 연준, 인플레이션 잡고 연착륙 자신감

2023년 시장의 화두는 단연 '불황'이다. 지난해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시행한 초고속 긴축이 과연 불황을 가져올 것인가 여부에 투자자들이 관심이 집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불황을 동반한 하락장과 그렇지 않은 하락장이 주는 타격감은 역사적으로 크게 달랐다. 지금 시장은 불황을 비껴갈 수만 있다면 더이상의 출혈 없이 다시 상승장을 기대할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미국 경제는 과연 불황을 피해갈 수 있을까. 주요 불황 지표들의 현주소를 살펴본다.

[알기 쉬운 세금 이야기] 비거주자 세금 보고

미국 영주권자 또는 시민권자가 아닌 유학생, 연구원, 인턴 등 짧은 기간 미국에 체류하는 비거주자들도 수입 규모에 상관없이 모두 세금 보고를 해야 한다. 세금 보고를 제대로 해두지 않으면 향후 재입국 시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세금이 얼마인지, 절차는 어떻게 되는지, 환급은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등을 알아두면 좋겠다.